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이민문호 확대 긍정 여론 우세…76%가 “유지 또는 늘려야”

미국인들은 이민 문호 확대에 대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기관 퓨리서치센터가 지난 8월 92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6%가 이민자 숫자를 현 수준으로 유지하거나 늘려야 한다고 답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응답자의 46%는 “현재의 이민자 규모를 유지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30%는 “더 늘려야 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반면, “줄여야 한다”는 응답자는 22%에 불과했다.     인종별로는 아시아계 응답자의 46%가 이민 확대에 찬성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반면 백인 응답자는 27%만이 이민 확대에 동의해 가장 낮은 비율을 기록했다.   연령대별로는 65세 이상 응답자의 51%가 “유지해야 한다”고 답했으며,“확대해야 한다”는 19%, “줄여야 한다”는 27%로 집계됐다. 이 연령대는 전체 연령층 중 가장 보수적인 입장을 보였다. 반면, 18~29세의 젊은 응답자들은 50%가 이민 확대를 지지해 다른 연령대와 대조를 이뤘다.   국토안보부(DHS)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영주권 취득자는 120만 명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팬데믹 초기인 2020년 영주권 발급 건수가 70만 건으로 급감했다 3년 동안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며 지난해에는 2016년 수준을 회복한 것이다.  최인성 기자 [email protected]미국 이민자 이민자 허용 이민자 규모 이민 허용

2024-12-22

팬데믹 기간에도 뉴욕시 이민자 늘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도 뉴욕시 이민자 인구는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뉴욕시장실 산하 이민서비스국(MOIA)이 내놓은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현재 뉴욕시 이민자 인구는 307만9776명으로 2020년(301만3379명) 대비 2.2%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팬데믹 시작 전이었던 2019년 뉴욕시 이민자 인구(303만397명) 규모도 넘어서는 수준이다.     뉴욕시 이민자들의 출신 국가를 보면 도미니카공화국(42만명)이 13.6%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도미니카공화국 출신 이민자는 팬데믹 이전과 비교했을 때 5%나 늘어났다. 두 번째로 많은 이민자 출신국가는 중국으로, 2021년 현재 32만4000명 규모다. 다만 중국 이민자 규모는 2019년(35만3000명)과 비교하면 8% 줄었다. 팬데믹으로 중국 당국이 출국 제한 방침을 내린 탓이 컸던 것으로 풀이된다. 이외에 자메이카(16만3000명, -4%), 멕시코(15만5000명, +1%), 가이아나(12만6000명, +22%) 등의 순으로 이민자 규모가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뉴욕시 이민자는 계속 늘고 있는 가운데, 언어장벽은 이민자들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히고 있다. 뉴욕시 5개 보로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200개 이상으로, 이민자 중 75%는 가정에서 영어 외 다른 언어를 쓰는 것으로 분석됐다. 뉴욕주 한인(혼혈포함) 중 67.9%도 집에서는 한국어를 쓰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이민서비스국은 언어교육지원에 힘을 쏟고 있는데, 특히 건강보험의 경우 한국어를 포함한 12개 언어로 서비스 설명을 제공 중이라고 보고서는 밝혔다.     이민자 수가 늘면서 이민서비스국에서는 이민자 권리 워크숍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다만 관련 워크숍은 주로 영어(160개)나 스페인어(78개)로 열렸고, 한국어 워크숍은 23개에 불과했다. 언어적 장벽에도 플러싱·머레이힐 등 한인밀집지역 우편번호(11354) 거주자들의 워크숍 참여율은 상위권으로 집계됐다.     한편 최근 뉴욕시에는 남부 국경을 통해 넘어온 망명신청자들이 급증해 앞으로도 이민자 수가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파악된다. 앤 윌리엄스-아이솜 보건복지 부시장은 “인도주의적 위기 상황이지만, 이민서비스국은 통역 서비스 등 핵심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이민자 뉴욕 뉴욕시 이민자들 이민자 출신국가 이민자 규모

2023-09-2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